본문 바로가기

공통/Github

프로젝트 github로 업로드(push)

작업한 프로젝트를 열고 Terminal를 찾습니다.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첫째, 위에 메뉴란에서 Terminal > new terminal를 선택하면 됩니다.

둘 째, 하단 상태란에 대고 마우스가 화살표로 바뀌고 위로 올리면 terminal이 나옵니다.

 

terminal에 표시된 프로젝트 경로가 일치되는지 확인하셔야 됩니다.

특히 나중에 버전이 많아지면 이거를 꼭 확인하세요.

 

terminal에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한 후 enter를 칩니다.

하단 상태란 왼쪽에 master표시가 나타나면 다음 스텝 진행하세요.

 

만약 상태란에 master표시 바로 안 뜬다면

왼쪽 메뉴바 3번째 아이콘을 클릭한 후 위에 새로고침을 눌러주세요.

이때 하단 상태란에 master가 나올 겁니다.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git config --global user.name '홍길동'

git config --global user.email 'hongildong@naver.com'

위에 3줄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주의할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windows체제면, 첫 명령어 마지막 단어는 true를 입력하고, MacOS면 input으로 변경해야 됩니다.

2. 두번째 명령어 이름에는 github에 user name으로 입력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일치 안 해도 딱히 상관없습니다.

3. 세번째 명령어 이메일은 반드시 github가입한 이메일을 입력해야 됩니다.

 

다 입력한 후, 마지막 명령어를 입력하면서 체크하세요.

git config --global --list

 

git add .

git status

두 명령어를 통해 프로젝트 폴더 안에 모든 파일을 등록해줍니다.

git commit -m 'Start project'

commit은 버전을 생성하겠다는 뜻이고 이름은 Start project로 지겠습니다.

git log

해당 명령어는 commit을 통해 등록한 버전을 확인합니다.

 

이제부터 github에 업로드한 과정입니다.

github에 로그인 후 프사 클릭 후 Your repositories를 클릭합니다.

repository는 저장하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New를 클릭해서 새로운 저장소를 만듭니다.

이름을 짓고 하단은 건드리지 않고 create repository를 누를 겁니다.

public은 공개되는 저장소입니다. 누구나 보일 수 있는 거죠.

회사 프젝등 비밀을 유지해야할 내용이면 private를 선택하세요.

저장소 만들고 나서 원격으로 업로드할 링크가 필요합니다.

HTTPS를 클릭하고, 주소를 복사하세요.

다시 VSCode로 돌아와서 두 명령을 넣어주세요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git push origin master

 

enter 치고 팝업창이 나타날 겁니다.

github과 VSCode를 연동해야 프젝내용이 올라갑니다.

일종의 권한동의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연동을 동의하면 github에 내 프젝이 올라갑니다.

'공통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랜치 병합(pull request)  (0) 2023.08.14
브랜치(branch)  (0) 2023.08.13
Netlify 지속적인 배포  (0) 2023.08.13
버전 생성과 업로드의 이해  (0) 2023.08.13
git 설치  (0) 2023.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