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컴퓨터에 starbucks란 폴더가 있고 그것을 버전관리하기 위해
로컬에 git을 설치했습니다.
git을 설치 후, 최초 한번은 꼭 해야할 설정들이 있었습니다.
위와 같습니다.
현재 프로젝트에서 버전 관리를 시작하겠다는 의미로 git init를 입력했습니다.
어떤 파일들을 업로드해야하는지 명시를 해야됩니다.
git add 명령어를 입력했습니다.
업로드를 원한 파일 이름을 뒤에 작성해도 됩니다.
모든 파일 한꺼번에 올리려고 하면 . 을 뒤에 추가하면 됩니다.
이때 해당 파일들이 stage에 올라가 관리될 준비가 됐습니다.
여기서 commit은 버전을 생성하겠다는 뜻입니다.
버전 이름 생성은 -m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추후 또 main.js 파일을 작업해서 기존에 있는 프로젝트 생성에 commit을 안 했습니다.
이때 add를 통해 추가하고 이름도 지어서 새로운 main.js추가라는 버전이 생깁니다.
버전관리 후 온라인으로 저장하는 github을 사용해서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github에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github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해서 git에 remote add를 합니다.
그럼 로컬환경과 github을 연결되는 겁니다.
연결통로 생겼고 이제 stage에 있는 commit들 원격으로 push를 하면 됩니다.
'공통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랜치 병합(pull request) (0) | 2023.08.14 |
---|---|
브랜치(branch) (0) | 2023.08.13 |
Netlify 지속적인 배포 (0) | 2023.08.13 |
프로젝트 github로 업로드(push) (0) | 2023.08.13 |
git 설치 (0) | 202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