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6) 썸네일형 리스트형 Context React Context란? React에서 한 컴포넌트 안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하거나 다른 컴포넌트와 데이터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react에서 데이터 흐름 컨트롤 하는 법(state관리하는 법) state와 props를 사용해서 컴포넌트 간에 전달 react context 사용 mobx 사용 redux를 사용 react context는 component 트리의 깊이에 관계없이 props를 전달하지 않고도 component에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context는 전역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ex) 전역 상태, 테마, 서비스, 사용자 설정 등... context는 모든 수준에서 수동으로 props를 전달하지 않고도 구성 요소 트리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useRef 타입스크립트 ① 매개 변수의 타입과 제네릭의 타입이 T로 일치 (current 프로퍼티 직접 변경 가능) function useRef(initialValue: T): MutableRefObject; ==> interface MutableRefObject { current: T; } 위의 경우, useRef의 타입과 initialValue(변수)의 타입이 일치합니다. 이런 경우 current property를 변경 가능합니다. const numberRef = useRef(3) 위 코드를 보겠습니다. 매개 변수가 3이며 useRef의 타입도 number로 지정했습니다. 둘이 일치해서 numberRef의 타입이 MutableRefObject로 반환합니다. ② 매개 변수의 타입이 null을 허용하는 경우 RefObject .. 타입스크립트로 변경하기(2) BaseStat.tsx 타입 변경 interface BaseStatProps { valueStat: number; nameState: string; type: string; } components폴더 안에 BaseStat.tsx에 타입을 명시합니다. 에러난 부분의 타입을 명시해주면 됩니다. Damage Relations 컴포넌트 타입 변경 import { DamageRelations as DamageRelationsProps } from '../types/DamageRelationOfPokemonTypes'; interface DamageModalProps { damages: DamageRelationsProps[]; setIsModalOpen: React.Dispatch } DamageModal.tsx.. 이전 1 ··· 5 6 7 8 9 10 11 ··· 56 다음